반응형


07년 즈음에 머릿수가 꽤 많은 걸 그룹이 하나 나온다는 소식은 이미 접했지만 그때까지도 그다지 아이돌에는 호감이란게 없었던 시절이었다. 또 똑같은 그룹 하나 만들어서 돈좀 만지려고 하나보다...라는 생각을 먼저 하고 있었지만, 그 와중에 봤던 이 무대가 그 생각을 그대로 부셔버리며, 핑클 이후 다시금 아이돌 음악을 듣게 했다. 물론 퀄리티는 대폭 상승된.


소녀시대를 기점으로 아이돌 음악을 다시 생각하게 될 만큼 결정타였던 무대였던건, 남자 아이돌 음악은 듣질 않았기때문...


다른 글에서도 언급을 했지만 소녀시대의 1집 앨범은 알차고 구성도 다부진데다가 편향성 없는 작곡가 라인업에 다양한 장르를 색색으로 소화시킨 21시게 최고의 여자 아이돌 명반 중 하나라고 생각을 한다. 이 무대를 보고, 또 보고서 앨범에 없던게 아쉬웠는데 리패키지에 포함시켜 나온걸 보면 팬들의 니즈를 정확히 판단했던것같다. 


보통은 구성이 잘 짜인 앨범이라면 좀 흠이될만한 곡 한두개가 그 속에 뭍혀서 괜찮게 뽑히게마련이거나, 전 곡이 좋은 앨범이라면 각 곡의 퀄리티와 분위기때문에 서로 이어짐이 불편한 부분이 있게 마련이다.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괜찮다고 생각되면 수작, 혹은 명반이란 이름을 붙이건만, 소녀시대의 1집은 이런 옥의 티조차 용납하지 않는 클래식급 앨범이었다고 본다.


무대를 보면 긴장한 기색따위는 전혀 보이지 않고 센터를 번갈아 서는데도 포지션을 잡는 것이나 춤의 디테일에서도 약간의 틈이 없다. 그리고 이 무대에서 눈여겨 보는 부분이 세 군데가 있는데, 하나는 브릿지가 끝나고 서현이 뒤에서부터 박자에 맞춰 딱딱딱 달려나오는 부분, 그리고 효연과 유리, 윤아의 댄스파트, 마지막 부분의 마무리 안무 부분이다. 


얼마나 연습을 독하게 했는지 짐작케하는지 이 무대는 6년이 지난 지금봐도 경이롭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원 버전은 다소 미니멀한 비트 위에서 신나는 느낌을 최대한 살려냈는데 개인적으론 좀 허전하다는 생각이 많았다. 물론 무대를 보면 그 허전함을 꽉찬 무대와 안무로 채우고는 있지만 노래만 듣고 있으면 뭔가 더 들어갔으면 하는 바램이 있었는데 리믹스 곡에서 그 이상을 채워버리고, 라이브를 포기하면서 무대의 완성도를 높였다.


꼭 라이브를 해야한다는 고정관념도 이럴땐 필요 없어진다. 노래만 듣고싶다면 그냥 음원만 듣거나 해버리면 마음 편하다. 왜냐면 레코딩된 버전이야말로 기계로 수정까지 해가면서 그 멤버로 그 노래를 최대한 뽑아낸 작품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무대를 본다면 어느정도 눈요기가 되어야지, 그렇지 않다면 굳이 눈을 통해서 음악을 볼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다시 말하지만 언제부터 아이돌을 가수의 잣대로 평가했는지 되새겨볼법도 하다.)


너무 여기저기서 말도 안되는 비난을 먹었던지 소녀시대는 라이브도 완성도있게 하는 독한 팀으로 데뷔를 했다. 1집인데도 불구하고 리드보컬 둘은 거의 완성형으로 나와버리고 그 뒤에 서브들이나 댄스가 주인 멤버들조차도 큰 에러없이 무대를 소화해냈다. 저들에게 얼마를 투자했는지, 또 개인적으로는 얼마나 고생하고 데뷔를 했는지 가늠이 안갈 정도다.


그러다보니 이후에 소녀시대의 메가히트곡이 나오긴했지만, 이런 시작때문에 그들의 역량에 대해서는 그다지 놀라지 않게 됐었다. 도리어 더 성장할게 있을까 했는데 차츰 변화가 있긴했고, 서서히 멀어졌다는 슬픈 전설만이 남았다. 더 다양한 작곡가들로부터 더 다양한 음악들을 받았으면 어떨지 조금은 아쉬운 측면이 있다. 


SM이라면 국내 최고의 회사이니만큼, 웬만한 좋은 작곡가들로부터 곡을 받는데 어려움은 전혀 없을 것이지만, 지금은 개별활동에 바빠서 그룹 활동은 좀체 소식이 없다. 사실 요즘 활동 소식이 들린다해도 관심이 딴데 너무 쏠려있는 바람에 챙겨 들을지도 의문이긴하지만.



반응형

'아이돌 클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ick8f - One Day In Summer  (0) 2013.09.17
NMB48 - 星空のキャラバン  (0) 2013.09.11
SKE48 - 青空片想い  (0) 2013.08.29
Take That - Back For Good  (0) 2013.08.29
Spice Girls - Wannabe  (0) 2013.08.29

SKE48 - 青空片想い

아이돌 클래식 2013. 8. 29. 07:28 Posted by e-rown
반응형

정식으로 방한까지 해서 방송에서 직접 공연까지 했던 SKE48이었지만, 당시에 그다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팀이다. 이후에 AKB48 관련해서도 입구가 NMB48이었기 때문에 거리감으로는 가장 멀었던게 SKE48이었다. 지금에 와서는 HKT48을 포함한 네 팀이 그냥 비슷비슷하다는 느낌으로 싱글이나 나오면 듣고, 커플링까지 챙겨듣는 수고마저 안할만큼 관심의 영역에서 멀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이따금씩 찾아 듣는 곡들은 있는 편이다.

SKE48의 두번째 싱글인 이 노래는 그야말로 100% 아이돌 송이라고 말할만큼 청량감있고, 뻔한 내용을 리얼로 시적으로 간결히 표현한 문장이 예술이라고 말하고 싶을만큼 좋은 곡이다. 변태적인 내용이건 이상한 내용이건 한순간 이 사회의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만드는 작사가 아키모토 야스시의 능력이긴 하지만, 그런 재능이 건전한 곳에 제대로 사용된 이 노래만큼은 찾아듣지 않고는 못배기는 면이 있는게 사실이다.

썰을 풀자면, SKE48는 일본의 아이돌 이벤트 참가의 첫 스타트를 끊은 팀이었다. 片想いFinally의 악수회였고, 그때야 그다지 기대한 것도 없었기 때문에 좀 멍한 상태로 시작하고 끝났었다. 관심이 있는 것도 아니요, 그다지 열렬히 좋아하던 팀도 아니었던지라 그냥 '아 이런거구나'하고 마무리하고 나왔었는데, 심지어는 지금까지도 이 팀에선 그렇게 열렬한 응원 멤버가 없는데도 시간이 맞으면 한번씩 악수회를 갔다.

그렇게 두번을 더 갔다. 흔히들 악수회에는 아이돌에 미쳤다거나 멤버를 열렬히 사모해서 간다는 인식이 있지만, 생각외로 나처럼 아귀가 맞아서 한번씩 가는 사람도 꽤 있다. 다른 팀들은 이보다는 더 좋아하는 멤버가 있으니 갔다고 말할만도 한데, 여기는 응모를 해서 가는 개별악수회도 아닌 전국 악수회를 가다보니 매번 발걸음이 지 멋대로 가고 싶은데로 가곤한다. 이제껏 갈때마다 보통 2장 정도 악수권을 사용했는데, 일본에는 이정도 라이트한 악수회 참가자는 헤비한 참가자들보다도 훨씬 많아보이긴했다. 

상술의 일환이겠지만, 생각보다 진입장벽이 낮아서 그렇게 다닌걸수도 있다. 최고 인기 멤버들은 분명 1시간 가량을 줄을 서서 기다려야만 들어갈 수 있으니 어느정도 인내라는게 필요하긴하지만, 그외에는 보통 10분 이내면 만날 수 있다는 느낌. 컨셉상 만나러 가는 아이돌이라니, 평범한 느낌을 주긴 하지만 종종 생각지도 못한 반응을 받을땐 묘하게 좋은 기분을 선사한다. 이게 깊어져서 생활에 무리가 갈 정도라면 문제겠지만, 어느정도 선에서는 '일상에 힘이 되는' 이들의 목표에는 부합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악수회장에 가면 생각보다 좀비스런 친구들을 참 많이본다. 캐리어를 끌고 악수회를 따라 다니는 녀석들이라거나 동네에 아이돌 이벤트에 몰려다니는 친구들. 일상과 벽이 허물어지면 어떤 취미고 위험해지는건 사실이라고 생각은 한다만 여기는 조금 더 위험하다는 느낌도 처음엔 있었다. 몇번 보다보니, 그렇게 살아가는 것도 저들에게는 즐거운 방식일 수 있겠거니 하면서 별 느낌없이 지나치게 됐다. 

이 노래가 시작될때의 그 청량감이 좋다. 그리고 이 밝은 모습을 어두운빛 하나 없이 그려낸 투명한 가사도 듣다보면 좋아할 수밖에 없게 되는것 같다.



반응형

'아이돌 클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MB48 - 星空のキャラバン  (0) 2013.09.11
소녀시대 - 다시만난세계 Remix  (0) 2013.09.02
Take That - Back For Good  (0) 2013.08.29
Spice Girls - Wannabe  (0) 2013.08.29
BiS - nerve  (0) 2013.08.26

Take That - Back For Good

아이돌 클래식 2013. 8. 29. 02:30 Posted by e-rown
반응형

스파이스걸스 글쓰다가 추억에 젖어 하나 더 써버린다. 처음 팝음악을 접하고 좋아하게 되었던 음반이라면 컴필레이션이었떤 Now 1집이었다. 그리고 Now 2집이 나올 무렵에 친척형이 Max 1집을 구입했고, 그 맥스 1집에 있던 첫 트랙이 바로 이 노래였다. 싱글 판매량만 100만장을 넘기고, 유럽이나 영국챠트는 1위, 후에 빌보드에도 7위에 올랐다고 위키에 나온다.

테이크 댓이라고 하면 사실 이 노래가 처음이자 끝이다. 그들의 베스트 앨범을 참 많이도 들었고, 노래가 좋았다고하지만, Back For Good이 심각할 정도로 좋았고, 세상을 뒤흔들어버렸던만큼 다른 노래들이 좋게 들릴리가 없었다. 아시아 챠트, 일본챠트, 유럽챠트, 영국챠트, 그리고 빌보드챠트까지 이렇게 넘나들며 다 점령한 곡은 세계를 뒤져서 몇곡 안된다. 마이클 잭슨의 노래들 중에 몇개가 있고, Wannabe가 있고, 이 곡이 있다. 뭐 찾으면 많긴하겠지만...

솔직히 따지자면, 이 노래는 작곡하고 리드보컬을 해버린 게리 발로우의 솔로곡이었다. 잘 들어보면 다른 멤버들은 코러스 넣는거 말고는 하는것도 없다. 게다가 게리 발로우의 감미롭고 가성과 진성을 자유롭고 부드럽게 넘나드는 보이스가 아니고서는 이 노래는 제대로 소화할 수 없는 곡이었던만큼 혼자서도 충분한 곡이었다고 본다. 그런데 왜 같이 불렀을까? 난 모른다.



전원 합창이 가능한 곡의 위엄. 추후에 다시 모여서 투어했던 영상들 보면 이 노래 앞 부분은 볼때마다 소름 돋는다. 


게리 발로우는 이후 해체후에 아시아 채널 V에서 마크 오웬과 종종 등장했지만, 사실상 승자는 로비 윌리암스였다. 밀레니엄 앨범 이후 유럽을 휘저어버릴만큼 엄청난 인기를 누렸는데다가 전 Take That 멤버가 아닌 로비 윌리암스라는 이름으로 맹위를 떨쳤을 정도다. 그가 테이크댓의 막내 멤버였다는 기록조차도 아까울만큼 너무 크게 성공해버렷으니.


반면 게리 발로우는 이 곡 하나로 재결성때까지 버티는 수준이었던걸로 기억을 한다. 그나마 이런 히트곡 하나가 있었으니 먹고 살 수 있었던것도맞고, 다른 팀들과 콜라보도 가능했었다. 



콜드 플레이의 공연에 나타난 게리 발로우. 



영국의 4인조 보컬그룹 JLS와의 콜라보. 


지금 찾아보다보니 게리 발로우 이형님은 왜이렇게 곱게 늙었고, 나이가 먹었는데 저 미성은 그대론지. 좀 부럽...



이 노래 발매일이 1995년 3월이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이렇게 많은 사람들 입에 오르고 내리고, 결국 멤버들이 다시 모여서 부르고, 후세의 밴드들이 부르고, 같이도 부르고, 그걸로 거의 20년째 먹고 살고 있는걸 보면 전대미문의 히트곡인건 분명해보인다. 이제 2년만 더 불러서 먹고살면 그걸로 20년이다. 한곡 울거먹는 수준이 사골이다.


그래도 도저히 미워할 수가 없는건 맑게 울려퍼지는 기타소리와 미성의 소리로 막 시작하는 그 가사는 영원했기 때문이다. 하나의 완벽한 작품을 남기고 ...사라졌으면 원힛원더라고 했겠지만. 그 완벽한 곡으로 십여년을 넘어 울거먹고 있으니 입 다물고 있어야지. Now에 비해서 Max가 늦게 나왔지만 그렇게 뚫어지게 들은것도 아마 이 곡때문이었을 것이다. 








반응형

'아이돌 클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녀시대 - 다시만난세계 Remix  (0) 2013.09.02
SKE48 - 青空片想い  (0) 2013.08.29
Spice Girls - Wannabe  (0) 2013.08.29
BiS - nerve  (0) 2013.08.26
AKB48 팀 서프라이즈 - そのままで(소노마마데)  (0) 2013.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