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밴드의 라이브 문화가 일반화되어있어 아이돌 업계에서도 이 용어를 거의 그대로 수용해서 쓰고 있다.
箱 하코
라이브 하우스 등의 라이브나 이벤트가 진행되는 시설
규모가 큰 경우 デカ箱 데카바코, 大箱 오오바코로 표현
자주 공연을 하는 공연장은 常箱 죠우바코라고 부른다.
箱는 상자라는 뜻으로 하나의 공간에 무대와 기자재, 조명, 대기실, 객석이 있어서 하나의 상자 같은 이미지를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箱バン 하코반
라이브하우스의 전속 밴드를 뜻한다.
라이브 하우스를 뜻하는 箱 하코 + 밴드의 앞글자 バン 반 의 합성어
하루에 여러번 공연을 하는 경우도 있고, 레파토리가 100곡이 넘는 경우도 있어 실력을 요하기도 하며, 80년대에는 성행했지만 최근에는 많지 않다고 한다.
対バン 타이반
어원은 対決バンド 대결 밴드에서 왔다고 한다.
서로 싸우진 않지만 경쟁하는 입장의 밴드라는 뜻.
일본은 대개 4음절로 줄이는 관례가 있어 対バン 타이반이 되었다.
그래서 용어 자체가 뜻하는 것은 같은 공연에 나오는 다른 밴드
하지만 타이반이라는 용어는 현재 다른 뜻으로 통용된다.
공연의 형식은 출연 팀의 숫자에 따라 두가지로 나뉜다.
한 밴드가 단독으로 하나의 공연을 하는 ワンマン形式 원맨형식의 공연
2개 이상의 밴드나 팀이 하나의 공연에 번갈아 출연하는 タイバン形式 타이반 형식의 공연
그래서 '여러 팀이 나오는 하나의 공연'을 타이반이라고 부르게 됐다.
バミる 바미루
어원은 場所を見る (장소를 보다) 에서 시작되어서 バミる 바미루가 동사로 굳어진 것이라고 한다.
무대 위에서 자신이 서야할 정 위치, 악기나 그외 물건들이 놓여있어야 할 정 위치에 테이핑하는 것을 뜻한다.
공연자들이 포메이션을 잡을때 이 테이프들을 보고 서게되고, 조명과 카메라를 비출 때도 이 테이프들을 기준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공연자와 스탭들에게 무대 연출의 기준점을 확인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타이반 공연을 할때에도 여러 팀들이 움직이며 기준 위치를 잡을때 꼭 필요하기 때문에 중요한 작업이다.
バミる 바미루 작업을 한 테이프나 그 표시를 バミリ 바미리 라고 부른다.
キャパ 캐파
capacity를 줄여서 쓰는 말. 공연장의 최대 수용인원을 뜻한다.
ノルマ制 노르마세이
러시아어인 norma (기준, 할당된 노동의 기준량)과 制 (제도, 규칙, 규정)의 합성어
노르마는 일반 비지니스 용어로 '노동에서 달성해야할 수치나 정도'를 뜻하고 있으며, 일본에서 ノルマ制 노르마제는 성과급제를 뜻하지만, 근무 시간당 급여 없이 완전 노르마제로 급여를 주는 것은 위법이라고 한다.
라이브에서 ノルマ制 노르마세이는 주최자로부터 판매 티켓 할당량을 부과받는 시스템이며, 할당량 이상 팔렸을 경우 1장당 일정 비율로 돌려받을 수 있고, 반대로 할당량에 미달되었을 경우 부족한 판매량의 티켓 가격을 출연자가 주최자에게 지불해야 한다.
주최자는 절대 손해를 보지 않는 제도이기도 하지만 인기팀일수록 타이반 공연에 출연할 유인이 되며, 인기팀의 팬이 비인기팀 공연을 보게하는 시스템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씬이 돌아가게 하는 역할을 하는 제도다.
아이돌 공연에서도 이 노르마제로 인해 指名入場 지명입장을 하면 指名特典 지명특전 등을 제공하고 있다.
チャージバック制 차지백세이
Charge Back 제도. 티켓 매출의 일정 비율을 주최자가 출연자에게 지불하는 시스템이다.
매출액의 일정 비율을 지급할만큼 인기팀에게 출연료를 성과로 지불하게 하는 방식이며, 공연의 홍보 등을 열심히 할 유인이 된다.
ワンドリンク制 원 드링크 세이
입장시 1 음료 가격 지불을 강제하는 제도.
최근 드링크 가격이 올라감에 따라 이용자들은 법적으로 원드링크를 강제하면 안되는 공연장들을 따로 밝히고 있다.
セットリスト 세트리스트
공연에 연주한 곡명과 곡 순서를 적은 것. 줄여서 セトリ 세토리
取り置き(予約) 토리오키(예약)
고객이 미리 출연자에게 이름과 티켓 매수를 전달하여 사전 구입이 아니더라도 당일 구입으로 예매가로 티켓을 구입할 수 있는 시스템
順リハ 슌리하 / 逆リハ 갸쿠리하
リハーサル 리허설을 실전과 같은 순서로 하는 것을 順リハ 슌리하, 반대로 하는 것을 逆リハ 갸쿠리하
조명과 기자재 배치변경 등을 체크하기 때문에 보통은 역리하를 진행하는 편이라고 한다.
ゲネプロ 게네프로
독일어 Generalprobe (총연습, 시연)의 줄임말
무대나 의상 등을 실전과 같은 조건으로 하는 최종 리허설을 뜻한다
転換 전환
팀이 교체될 때 세팅을 교체하는 것
セットチェンジ 세트 체인지라고도 부른다.
上手 카미테 下手 시모테
객석에서 바라볼 때 무대 오른쪽을 上手 카미테 무대 왼쪽을 下手 시모테라고 부른다.
ソデ 소테
무대 양쪽 끝에 객석에서 보이지 않는 곳
원뜻은 袖 소매로 옷에서 팔을 덮는 곳, 대문 양쪽 울타리, 책상 양쪽의 서랍, 문서의 여백, 갑옷에서 어깨에서 팔꿈치 부분 등을 의미한다.
見切れる 미키레루
방송용어로 보이면 안될 것이 잘못돼서 보이게 되는 것
무대 용어로는 스탭등에 가려서 보여야 될 것이 안보이거나 그늘에 가려져 출연자가 안보이는 상황 등 관객에게 보여선 안될 것을 보이는 경우에 쓴다.
バラし 바라시
ばらす 바라스(분해하다, 해체하다, 듣어내다)의 명사형.
기재 철수, 조명, 음향기기 해체, 대기실 정리 등을 말한다.
ハケる 하케루
はける 하케루 원래 의미는 물이 잘 빠진다, 물건이 잘 팔린다
ハケる로 공연이나 방송에서 쓰는 말로는 사람이나 소품 등이 무대나 화면에서 사라지는 것을 의미
押す 오스
원래 의미는 '밀다'
예정된 시간보다 진행이 늦어진 상태를 뜻한다
巻く 마쿠
원래 의미는 '감다', '말다'
예정된 시간보다 진행이 빨라진 상태를 뜻한다
完撤 간테츠
完全撤収 완전 철수의 줄임말
모든 정리가 끝나 고객과 공연자가 완전히 철수한 것
完パケ 간파케
위와 같은 뜻.
공연, 방송업계에서는 完全終了 완전 종료가 되면 完全パッケージ 완전 패키지되었다고 표현
영상은 편집이 종료된 완제품을 完全パッケージ 완전 패키지, 음악이나 인쇄도 발매전 모든게 편집이 완료된 상태응 완전 패키지로 표현한다. 그래서 공연도 정리가 끝나고 철수하면 완전 패키지가 되며 完パケ 간파케로 줄여서 말하게 되었다.
'매일매일 잡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UNETTA 멤버 공개 (0) | 2023.08.30 |
---|---|
연극 귀멸의 칼날 유곽잠입 (0) | 2023.08.30 |
必殺エモモモモ7 필살에모모모모7 みつき 미츠키 해고 처분 (0) | 2023.08.30 |
BABY TO KISS 신멤버 セナ 세나 (0) | 2023.08.29 |
A lot of love! 활동 종료 공지 (0) | 2023.08.29 |